김천명산

김천 난함산 (금화마을 사기점고개 백두대간 갈림길 돌탑봉 태화초등학교)

마 음 2014. 6. 14. 23:30

 

 

보호수로 지정 관리되고 있는 400여 년생 느티나무가 있는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상금동(금화마을) 금화저수지에 물을 채워주는 계곡이 백두대간 사기점고개에서부터 시작하여 금화저수지에 물을 채우고 감천으로 흘러 낙동강으로 흘러가는데, 이 금화계곡을 기준으로 동쪽에는 난함산을 정점으로 긴 능선을 이루면서 차차 고도를 낮추어 봉계초등학교 앞까지 이어지고 난함산에서 서쪽으로 사기점고개를 건너 백두대간을 이어가다가 435봉을 조금 못미처 남쪽 태화초등학교를 향하여 고도를 낮추면서 뻗어내린 긴 능선이 서로 마주 보고 있습니다.

 

 

   

 

 

금화마을에서 올려다본 난함산 정상 방향과 사기점고개를 지나 태화초등학교 앞으로 뻗어내리는 능선(왼쪽)

 

 

 

 

난함산 정상에서 봉계초등학교 앞으로 뻗어내리는 능선. 

 

 

 

 

 

상금리(금화마을)에서 사기점고개로 올라가는 길목의 다른 보호수 느티나무. 이 마을에는 커다란 느티나무가 여러 그루가 있습니다. 

 

 

 

 

 

 

 

느타나무 하단의 위풍당당한 모습.

 

 

 

 

 

느티나무 전신.

 

 

 

 

 

금화저수지 방향.

 

 

 

 

 

말목장의 방사된 말들.

 

 

 

 

 

 

 

 

 

한가로이 풀을 뜯는 말들.

 

 

 

 

 

사기점 고개 방향. 상금리에서 사기점고개로 오르는 시멘트 도로는 이곳 말 목장 뒤쪽에서 끝나고 비포장의 흙길이 사기점고개로 이어집니다.

 

 

  

 

 

말 목장에서 말이 울타리를 넘어 달아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말 목장 주변 울타리에는 전기 울타리를 설치하였으며 이곳 사기점고개로 가는 길목에도 전선으로 가로막아 놓았으나 여기는 전기가 통하지 않아서 사람이 건드려도 감전의 위험은 없습니다.

 

 

       

 

 

 

 

백두대간 사기점고개 근처로 사람의 발길이 별로 닿지 않은 깊은 산이라서 밀림처럼 우거져 있습니다..

 

 

  

 

 

 

 

사기점고개. 직진하면 작점리 추풍령저수지 방향으로 이어지고 왼쪽은 추풍령 금산. 오른쪽은 난함산 작점고개 방향으로 이어집니다.

  

 

 

 

 

 

사기점고개. 청색선은 금화마을과 작점리 방향. 적색선은 백두대간 길로 왼쪽은 영동 추풍령면 금산방향이고 오른쪽은 난함산- 작점고개 무좌골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마루금.

 

 

 

 

 

백두대간 추풍령 금산 방향으로 오릅니다.

 

 

 

 

 

사기점고개. 난함산(북쪽) 방향과 금화마을 방향(2시 방향 길)

 

 

 

 

 

 

 

사기점고개에서 추풍령 금산 방향 백두대간 길.

 

 

 

 

 

난함산 아래 말목장 방향(절개지 황토색 지대)

 

 

 

 

 

 

 

 

 

 

 

백두대간 길에 곱게 핀 산중나리꽃.

 

 

 

 

 

 

 

 

 

난함산에서 봉계초등학교 앞으로 뻗어내리는 능선.

 

 

 

 

 

 

 

사기점고개 방향.

 

 

 

 

 

삼거리 갈림길. 아래 길은 사기점고개에서 올라온 길로 오른쪽은 추풍령 금산 방향으로 가며, 왼쪽은 태화초등학교 방향으로 내려가는 능선길이 이어집니다. 이 지점에서 남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태화초등학교 방향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흔적은 보일 듯 말 듯합니다. 

 

 

  

 

 

 

 

태화초등학교 방향의 등산로.

 

 

 

 

 

 

추풍령 금상 방향의 백두대간길 방향.

 

 

 

 

 

사기점고개 방향.

 

 

 

 

 

태화초등학교 방향의 등산로. 이곳은 이용하는 등산객이 많지 않아 등산로가 희미합니다.

 

 

 

 

 

지난 가을에 떨어진 낙엽이 그대로 있습니다.

 

 

  

 

 

산에서 사는 작은 짐승이 땅굴을 파면서 나온 흙으로 흙의 색상과 밀도를 보면 이 지역이 한때 사기를 만들었다는 예기가 설득력이 있게 합니다. 흙이 상당히 고운 사질토입니다.

 

 

      

 

 

 

 

 

 

숲 사이로 드러난 상금리 봉계 방향.

 

 

 

 

 

 

 

 

 

 

 

 

 

 

 

 

 

숲 사이로 드러난 추풍령 방향.

 

 

 

 

 

 

 

 

 

 

 

등산로가 잘 보이지는 않지만 김천시 봉산면에서 메달아 놓은 이러한 산불조심 리본을 따라가면 길을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시 숲 사이로 드러나는 상금리 방향.

 

 

 

 

 

상금리 중리 방향.

 

 

 

 

 

지금은 이용하지 않은 듯한 참호 흔적.

 

 

 

 

 

 

 

 

 

 

 

돌탑봉.

 

 

 

 

 

돌탑봉에서.

이곳 돌탑봉에서 부터 태화초등학교 앞까지 내려가는 능선에서는 수많은 돌탑들을 만나게 됩니다. 돌탑들을 일부 촬영하여 올려봅니다.▼

 

 

   

 

 

 

 

추풍령 방향.

 

 

 

 

 

 

 

 

 

 

 

 

 

 

 

 

 

 

 

 

 

 

 

 

 

 

 

 

 

 

 

 

 

 

 

 

 

 

 

 

 

 

 

 

 

이곳에는 5개의 돌탑이 모여 있습니다. 오형제 돌탑이라고 부르면 어떨까요. 

 

 

 

 

 

 

 

 

 

 

 

 

 

태화마을 방향.

 

 

 

 

 

 

 

 

 

 

 

 

 

돌탑봉 정상과 중앙의 바위지대에 오형제 돌탑이 있는 곳입니다.

 

 

 

 

 

 

 

 

 

 

 

 

 

 

 

 

 

 

 

 

 

 

 

 

 

 

 

 

 

 

 

 

 

 

 

 

 

 

 

 

 

 

 

 

 

 

 

 

 

 

 

 

 

 

 

 

 

 

 

 

 

 

 

 

 

 

 

 

 

 

 

 

 

 

 

 

 

 

 

 

 

 

 

 

 

 

 

산중나리.

 

 

 

 

 

잣나무 지대.

 

 

 

 

 

죽순.

 

 

 

 

 

요즘은 대나무의 이용가치가 없어 방치되어 있는 대밭과 죽순.

 

 

 

 

 

산을 내려와 창촌리 정자.

 

 

 

 

 

태화초등학교로 내려가면서 바라본 창촌리 방향.

 

 

  

 

 

태화초등학교 교정.

 

 

등산경로 : 금화마을(상금리)- 정자나무-  말목장 입구- 사기점고개-  백두대간 추풍령 갈림길- 550봉- 돌탑봉- 창촌리- 태화초등학교- 창촌리- 중리- 상리- 금화저수지- 금화마을(원점회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