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3

이말산 조선시대 여성전문직 궁녀 테마길 산책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소재 이말산 산책은 서울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2번 출입구로 나오면 구파발성당과 함께 자전거 보관소 옆으로 이말산 등산로 입구가 계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말산의 산책거리(구파발역 - 하나고등학교(진관사입구)는 약 3km 정도로 짧고 처음 테크 계단을 오를 때에는 가파르지만, 조금만 오르면 편안한 산책로가 아어진다. 서울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2번 출입구와 천주교 구파발성당. 구파발 유래는 조선시대 파발제도와 깊은 연관이 있다. 파발은 공문서와 급보를 전달하기 위한 국가적 통신망으로, 말을 타고 일정 구간마다 역참을 두어 신속한 정보 전달을 가능하게 했다. 구파발 유래는 곧, 이 지역에 파발마를 잠재우는 마방이 있었고, 파발이 지나던 길목이었기..

둘레길로 2025.06.11

남산(목멱산) 봉수대(봉화대)

남산봉수대 어제 정월대보름이라고 하여 달맞이나 할까 하여 오후 늦게 남산에 올랐다. 버스를 타고 남대문에서 내려 지난 9일 방화로 불타버린 숭례문 옆을 지나 남산길로 올랐다. 불탄 숭례문을 보고 싶지 않아서 가까이 가지 않고 지나치며 남산으로 들어가서 김유신장군의 동상과 백범 김구선생 동상 앞을 지나면서 천천히 걸었다. 대기가 깨끗하지 않아서 별로 기분 좋은 느낌은 아니었지만 이런저런 볼거리가 많아서 그런대로 위로를 삼았다. 안중근의사 기념관 앞에서는 그분이 생전에 말씀하셨던 글들을 커다란 돌기둥에 새겨 놓았는데 읽을 수 있는 한도에서 하나 둘 읽어보면서 그분의 애국애족의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나도 모르게 움직이는 발길을 따라 어느덧 남산의 정상에 도달해 보니 5시가 넘었다. 서쪽으로는 한강물이 저물..

자연에서 200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