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유적 281

경복궁 향원정

인왕산과 낙산을 좌청룡 우백호로 삼아 중앙에 우뚝 솟아 있는 북악산(백악산) 아래 아늑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조선의 정궁 경복궁. 경복궁 안에 있는 작은 연못 가운데 자리 잡고 있는 향원정은 2층 정자로 고종이 건청궁(乾淸宮)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그 중앙에 지은 정자이다. 건청궁과 향원정 사이에 다리를 놓아 취향교(醉香橋)라 했는데, 이 다리는 6·25 한국전쟁 때 파괴되고 1953년 남쪽에 새로 다리를 놓았다가 2017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 6개월여에 걸쳐 일제 강점기 후 변형되어 원래 자리가 아닌 곳에 설치된 경복궁 향원지의 나무다리 취향교(醉香橋)를 원래 자리에 복원하고 일반에 다시 공개한 모습이다. 정자는 정육각형으로 장대석으로 된 낮은 기단 위에 ..

역사유적 2025.04.18

월남 이상재 선생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 86 종묘 앞. 공원 안에 세워져 있는 월남 이상재 선생 동상.                                                                                                                                                                 해치.  동대문이라고 부르는 흥인지문.  날씨가 풀리면서 공원의 참새들도 생기를 찾은 듯 활기차게 날아다니면서 즐겁게 놀다가 나뭇가지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이 귀엽다.  월남 이상재 선생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계호(季皜), 호는 월남(月南). 충청남도 서천 출신. 아버지는 이희택(李羲宅)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이다. 어려서..

역사유적 2025.02.14

창덕궁 산책하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창덕궁 정문 돈화문은 현재 보수공사 중으로 가림막이 둘러쳐져 있어 이용이 불가한 상태이고 좌측의 종합관광센터  앞의 작은 문을 이용하여 출입한다. 오랜만에 창덕궁 후원을 산책하기 위하여 들러보았다.                     인정문과 수장문.  창덕궁 정전 인정전.                                     창덕궁(昌德宮)은 자연과 조화를 이룬 가장 한국적인 궁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궁이다.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

역사유적 2024.12.31

창경궁 춘당지의 겨울 풍경

창경궁의 정전 명정전.  창경궁 춘당지에는 추워진 날씨로 얼음이 얼어있는 모습이다. 춘당지 작은 섬의 소나무도 지난 폭설피해를 입은 모습이 역력하다.  창경궁 백송.백송은 나무껍질이 하얗고 껍질 조각이 오래되면 저절로 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잎은 3개씩 모여 난다. 백송은 중국이 원산지인 희귀한 나무로 조선 시대에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가져다 심었다. 현재는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팔각칠층석탑.칠층 탑신부보다 아래의 기단부가 더 높아 보인다. 춘당지는  창경궁의 연못이다. 연못이 두 개로, 북쪽의 작은 연못(소춘당지)과 남쪽의 큰 연못(대춘당지)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못 이름은 근처에 있던 춘당대에서 따왔다. 춘당대는 창덕궁 영화당 앞의 넓은 마당이다. 조선 시대에는 창덕궁과 ..

역사유적 2024.12.31

창덕궁 후원 산책하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창덕궁 정문 돈화문은 보수공사로 가람막이 쳐져 있고 좌측면의 종합관광센터 옆 작은 출입문을 이용하여 창덕궁에 들어간다. 창덕궁 후원은 경로할인 없이 성인 5,000원의 입장요금이 부과되며 미리 관람예약을 하여야 하고 경로우대자에게는 현장에서도 예약입장이 가능하다.  창덕궁 후원을 관람하면서 아마도 처음으로 대하는 부용지와 부용정으로 주변에 여러 건물들을 볼 수 있는데 높은 곳에 있는 주합루 서향각 등은 관람출입이 안 된다.  오른쪽의 주합루와 서향각은 출입 금지 구역.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부용정. 부용지 중앙에 작은 섬이 있고 커다란 소나무 한그루가 멋스럽게 서있는 모습이다.    창덕궁 후원 애련지와 애련정.  반도지와 좌측으로부터 승재정- 폄우사- 존덕정- 관람정..

역사유적 2024.12.30

경복궁 향원정과 취향교의 겨울

인왕산과 낙산을 좌청룡 우백호로 삼아 중앙에 우뚝 솟아 있는 북악산(백악산) 아래 아늑한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조선의 정궁 경복궁 한쪽에 자리 잡고 있는 향원정은 2층 정자로 고종이 건청궁(乾淸宮)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그 중앙에 지은 정자이다. 건청궁과 향원정 사이에 다리를 놓아 취향교(醉香橋)라 했는데, 이 다리는 6·25 한국전쟁 때 파괴되고 1953년 남쪽에 새로 다리를 놓았다가 2017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 6개월여에 걸쳐 일제 강점기 후 변형되어 원래 자리가 아닌 곳에 설치된 경복궁 향원지의 나무다리 취향교(醉香橋)를 원래 자리에 복원하고 일반에 다시 공개한 모습이다. 정자는 정육각형으로 장대석으로 된 낮은 기단 위에 육각형의 초석을 놓고 그 위에..

역사유적 2024.12.11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경회루경회루는 경복궁 침전영역 서쪽에 위치한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이다. 외국 사신의 접대나 임금과 신하 사이에 벌어지는 연회 장소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경복궁 창건 당시는 작은 누각이었던 것을 태종 12년(1412)에 크게 연못을 파고 지금과 같은 규모로 만들었다. 그 후 성종 때 건물이 기울어져 다시 고쳐 지었는데 돌기둥에 용과 꽃 장식을 하여 화려하게 치장하고, 연산군 때에는 연못 안 인공섬에 만세산을 조성하고, 그곳에 월궁을 꾸며 조화를 장식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경회루 건물은 없어졌지만,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연못은 나라에 가뭄이 들 때마다 기우제를 지내는 곳으로 이용되었다.외국인 관광객들이 제일 많이 찾는 서울의 관광지로 경복궁과 창덕궁 청와대 등을 ..

역사유적 2024.12.10

와우산 공민왕 사당 & 절두산 순교 성지 & 한강 서울함

와우산 아래 공민왕 사당. 절두산 순교 성지 1. 양화진(楊花津). 잠두봉(蠶頭峰)의 유래와 역사 양화진은 순수한 우리말로 풀이하면 버드나무 꽃이 핀 나루터란 뜻이다. 그리고 우뚝 솟은 잠두봉은 생김새가 누에의 머리를 닮았다고 해서 불렸던 이름이다. 양화나루 잠두봉은 15세기 태종 때부터 17세기 인조 때까지 주로 명나라 사신들을 접대하던 곳이었을 분만 아니라 국내의 고관 사대부들이 별장을 지어놓고 풍류를 즐기던 이름난 명승지였다. 또한 지리적으로는 서울에서 양천 김포를 거쳐 강화에 이르는 중요한 통로이자 삼남지방의 조운선(漕運船)과 한강 유역의 각종 어선들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양화나루는 도성으로 들어오는 사람과 물품들을 조사하고 도적(盜賊)들을 단속하던 장소가 되었으며, 구한말(舊韓..

역사유적 2024.08.10

한강공원 서울함 & 잠수함

특별시 서울 마포구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옆 월드컵천(불광천)의 석축을 이용한 호안공사가 깔끔하게 마무리공사를 마친듯하다.▲ 이처럼 석축호안으로 말끔한 모습도 좋고 아래처럼 수풀이 우거진 자연스러운 하천의 모습도 보기 좋다. 그래야 하천에 살고 있는 동물과 물고기들이 산란도 하고 시원한 그늘숲에서 휴식도 취하면서 지내기 좋을 터이니까.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다▼  월드컵천(불광천)의 서대문구 관할지역 「해 담는 다리」 주변 풍경.   한강의 성산대교. 성산대교는 현재 보수공사가 진행중인듯하다. 아직 페인트 도색작업이 진행 중인 모습이다. 장마찰을 맞이하여 보수작업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함(FFK-952) 등급 : 울산급 호위함. 배수량 : 1,900t 전장 : 102m 전폭 : 11.5m 높이..

역사유적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