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재(盆栽) 분재(盆栽)란 나무를 분(盆)에 심어 가꾸는 것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인 화분 가꾸기가 아닌 가꾸어지는 나무가 자연스럽고 고목다운 운치를 풍겨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에는 분재공원이 많은데 이러한 분재 하나를 만들어내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접기 내용 자연에서 2017.05.09
너는 내 운명 - 목석애(木石愛) 참나무의 굵은 뿌리가 무거운 돌을 끌어안고 너는 내 운명이야 하는 모습이다. 나무가 죽기 전에는 절대 돌을 놓아주지 않겠다는 모습이고 돌은 자신을 스스로 불태워 나무와 함께 죽거나 하지 않는 이상은 아무리 몸부림 처도 나무의 품에서 벗어나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사.. 등산여행 2015.09.26
이쑤시개 나무 이쑤시개는 우리가 식사를 마치고 잇새에 낀 것을 쑤셔 파내는 데 쓰이는 가늘고 뾰족한 물건을 말합니다. 이쑤시개의 주재료는 대나무나 소나무 같은 것을 이용하여 가늘고 뾰족하게 만들어 사용하는데, 식당에서 이쑤시개를 사용하고는 남은 음식물 속에 같이 넣어놓는 경우가 많아 .. 일상생활 2013.11.22
북한산은 건강과 행복을 주는 산 천만 명의 많은 시민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고 있는 서울. 하늘을 찌를 듯 높은 빌딩. 크고 작은 공장들. 대단지 아파트. 단독주택 등에서 사용하는 벙커 c 유나 연탄 석유 등에서 배출되는 대기 오염 물질이 많은 대도시의 특성 때문에 사시사철 서울의 하늘이 맑아 보이지 않았으나 최근.. 국립공원 2013.10.09
팥배나무 꽃 팥배나무는 장미과(薔薇科)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두이(豆梨)라고 부른다. 팥배나무로 불리는 이름이 아주 다양하다. 두이, 여인홍, 당이, 물앵도나무, 감당, 수유화추, 두수, 황산유, 감이, 산앵도, 산유, 수도(水桃), 대엽자유, 당정자, 풍유, 묘유, 산매자나무, 운향나무, 벌배나무, 물방.. 자연에서 2013.05.13
너와집 기와나 볏짚 대신 얇은 돌조각, 널빤지, 나무껍질 등으로 지붕을 덮은 집을 너와집이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산골에 이러한 너와집이 있었으나 지금은 강원도 깊은 산골 마을에도 너와집 찾아보기가 어려울 것이다. 안산에는 큰 나무를 쪼갠 널빤지를 이용하여 너와집을 세워 쉼터로 만들.. 일반상식 2013.04.30
북한산 진달래 김소월의 시 진달래가 아니더라도 북한산에도 진달래가 하나 둘 피어나기 시작한다. 봄비가 흡족하게 내린다면 진달래의 개화시기도 더 빨라지겠고 꽃도 더 선명한 연분홍빛이 되리라고 생각하는데 언제쯤이면 봄비가 흡족하게 내려 대지를 적실까. 봄철에 산에 심어놓은 나무에도 봄.. 등산여행 2013.03.29
북한산 풍경화 유월도 이제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찌는 듯한 무더위는 연일 계속되는데 비가 내릴 징조는 보이지 않고 파란 하늘 아래 북한산의 나무도 계곡의 어린 물고기들도 목마르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어제도 그렇고 오늘도 산등성이에는 시원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사람에게도 식물들에도 계곡.. 국립공원 2012.06.27
북한산 문수봉에서... 오늘은 봄이 되어 삼라만상이 맑고 밝으며 화창해 나무를 심기에 적당한 시기라고 하는 청명淸明입니다. 청명은 대부분 한식일과 겹치는데 이번에는 한식보다 청명이 하루 빠르네요. 청명이되면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하면서 논밭둑을 손질하기도 하고 못자리판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런.. 국립공원 2012.04.04
수락산 생강나무꽃 봄이되면 매화와 더불어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생강나무꽃. 꽃의 생김새와 색상만으로는 생강나무꽃과 산수유꽃을 구별하기가 어려울만큼 서로 닮은 모습입니다. 엊그제 봄비가 내려서 수락산 계곡에는 맑은 물이 흐르는 모습이 보이고 생강나무꽃이 피고 진달래도 꽃망울이 굵어지는.. 등산여행 201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