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 대남문과 중성문 북한산성 대남문. 대남문(大南門)은 북한산성의 성문으로 초기의 이름은 소남문(小南門)이리고 하였습니다. 북한산 사자 능선의 끝 지점인 보현봉 북쪽과 의상 능선(비봉 능선)의 끝 지점인 문수봉 동쪽 사이의 사자령에 설치한 문입니다. 사자령은 구기계곡을 따라서 행궁지가 있는 북.. 국립공원 2018.10.07
북한산 백운대 오르다 2015년 을미년 새해 처음으로 북한산의 정상인 백운대에 올라보려고 집을 나선다. 연신내역 앞에서 서울역 - 송추 사이를 운행하는 704번 시내버스(시외버스 34번 승차해도 됨)를 타고 북한산성 입구 정류장에서 하차한다.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에서 100여 미터 계곡 방향으로 진입하면 북.. 등산여행 2015.01.10
북한산 산영루 복원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지구 북한산성탐방센터 주차장에서 바라본 왼쪽의 원효봉 만경대와 오른쪽의 의상봉 용출봉 모습. 북한산성탐방센터 옆 둘레교에서 본 북한산성계곡으로 아침햇살이 찬란하게 쏟아지고 있습니다. 북한산계곡과 원효봉. 북한산 계곡 풍경. 북한산계곡 칠유암(七.. 국립공원 2014.09.27
북한산성 행궁의 마지막 보루 중성문 행궁 안 방향에서 본 중성문. 문루에서 본 중성문과 노적봉. 행궁 밖에서 본 중성문. 북한산 중성문(中城門)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중성문과 주변의 성곽은 북한산성北漢山城 축성蓄城 다음 해인 숙종肅宗 38년(1712년)에 산성수비 보완대책의 일환으로 축조한 중성이다. .. 역사유적 2014.05.01
북한산 북한천 계곡 풍경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는 지난겨울에 눈이 조금내리고 긴 봄철에도 계속된 가뭄으로 물이 많이 흐르던 북한산 북한천 계곡에 물이 별로 없습니다. 엊그제에도 비가 내리기는 하였지만 겨우 먼지를 잠재울 정도의 적은 양의 비가 내려서 이제 막 초록빛으로 물들어가는 나뭇잎에 생기를.. 등산여행 2014.05.01
북한산성 중성문 중성문 뒤로 보이는 암봉은 노적봉. 북한산 중성문(中城門)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중성문과 주변의 성곽은 북한산성北漢山城 축성蓄城 다음 해인 숙종肅宗 38년(1712년)에 산성수비 보완대책의 일환으로 축조한 중성이다. 당시 별도의 중성을 축조한 이유는 지형이 평탄하.. 역사유적 2013.05.22
북한산 문수봉에서 연화봉 앞에서 바라본 문수봉. 문수봉 위험구간을 오르면서 본 연화봉 측면. 의상 능선 나월봉 방향. 보현봉 방향. 연화봉. 문수봉에서 바라본 북한산 백운대 방향입니다. 멀리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 용암봉. 그리고 백운대 앞으로 노적봉이 보입니다. 문수봉에서 본 보현봉 방향. 문수.. 국립공원 2013.05.15
북한산성 대남문 원효봉- 중성문- 중흥사- 행궁지를 돌아 대남문에 다다르니 바람이 강하게 불고 날이 추위지기 시작합니다. 2월의 마지막 주말을 맞아 북한산을 찾은 등산객들이 수없이 믾고 대남문에도 많은 등산객들이 삼삼오오 옹기종기 모여 즐거운 주말을 보내기에 여념이 없어 보입니다. 역사유적 2013.02.23
북한산 용출봉. 용혈봉. 증취봉에서... 북한산 의상봉에서 주변 조망이 아름답다고 이곳에서만 마냥 즐기고 있을 수 없어 의상봉과 아쉬운 작별을 고하고 다음 봉우리 용출봉을 향하여 발걸음을 옮겨봅니다. 의상봉을 내려오면서 발길은 용출봉을 향하지만 눈은 자꾸만 의상봉에 머무르려고 합니다. 험한 바윗길에서 한눈팔.. 국립공원 2012.04.27
북한산 노적봉 북한산 노적봉은 만경대 서족 아래에 붙어있는 암봉으로 716m의 높이. 노적봉은 노적가리처럼 보인다하여 노적봉이라고 부르지만 노적사에서 혹은 중성문 방향에서 바라보면 노적가리처럼 보이지만 백운계곡을 오르면서 보거나 염초봉 능선에서 보면 노적봉의 북서면이 보이기 때문에 이처럼 전혀 .. 국립공원 2011.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