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가시 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 난함산 정상 방향. 흰가시 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 흰가시 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은 요즘 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버섯으로 버섯 전체의 색깔이 흰색이고 갓 등에는 작은 가시 같은 돌기가 많이 돋아나 있습니다. 독버섯으로 다 자라면 갓의 지름이 20cm를 넘게 자랍니다. 현재의 큰 .. 일상생활 2014.08.28
태백산 주목 (Japanese yew. 朱木) 주목 [Japanese yew, 朱木] spreading yew라고도 함. 주목과(朱木科 Taxaceae)에 속하는 관상용 상록관목 또는 교목으로 일본이 원산지이며 북반구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키가 약 16m까지 자라 서양주목(T. baccata)과 비슷하게 보이지만 이보다는 내한성이 강하며 빨리 자란다. 각 잎의 아래쪽에는 2.. 자연에서 2013.10.28
구릿대(백지白芷) Angelica dahurica 당귀 Angelica gigas 구릿대(백지白芷) Angelica dahurica 구릿대는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해 있으며 주로 산과 계곡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높이는 1~1.5m 정도이고 살이 찐 뿌리줄기에는 수염뿌리가 많이 돋아 있다. 줄기가 구릿빛으로 굵게 자라기에 구릿대라.. 목본화류 2013.08.26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말발도리꽃은 흰색이 대부분이지만 조금 분홍빛을 띈 말발도리꽃도 보입니다. 멀리서 보면 순백의 꽃이 마치 초록색의 나무에 눈꽃이 핀 것처럼 보이는데 약간 분홍색의 꽃을 보니 더욱 신비로운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수국과(水菊科 Hydrangeaceae)에 속하는 낙엽.. 목본화류 2013.06.05
박태기나무 꽃 Chiness redbud 박태기나무(Chiness redbud)는 겨울에 잎이 지는 떨기나무로 키는 3~5m쯤 되며 밑부분에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포기를 이룬다. 이른 봄 잎이 돋아나기 전에 작고 붉은 꽃이 가지마다 수북하게 달린다. 잎은 어긋나며 둥근 심장 꼴로 두껍고 윤이 나 보기 좋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서.. 자연에서 2013.05.03
제94돌 삼일절과 유관순 열사 삼일절 노래 삼일절 일본 제국주의는 1910년 8월 22일 '병합'조약을 강요하여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고 난 후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폭압적인 무단통치를 시행하며, 한민족의 모든 기본권리를 박탈했으며 교육, 종교 등의 모든 분야에 억압과 탄압을 당했습니다. 많은 경제적인 것들이 수.. 일반상식 2013.03.01
최종 파괴 (final destruction) 전남 해남 송지 땅끝. 충북 옥천 안남 둔주봉. 북한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군축회의에서 한국을 "최종 파괴(final destruction)하겠다"고 위협했습니다. 제네바 주재 북한 대표부 1등 서기관 전용룡은 '하루 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a new-born puppy knows no fear of a tiger)는 속담까지 인.. 일반상식 2013.02.20
나로호(KSLV-I) 발사 성공을 기원합니다. 총중량 140톤 규모 추진제 중량 130톤 규모 총길이 약 33m 직 경 2.9m 추 력 1단(170톤급)/ 2단(7톤급)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69-84번지 TEL : 042-860-2114 나로우주센터 : 전남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508번지 TEL : 061-830-8700 나로호(KSLV-I)는 100kg급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 일반상식 2013.01.29
독도는 우리 땅 경 광복절 67주년 축 런던올림픽 축구경기 3.4위 전이 한국과 일본의 대결이 되었었습니다. 지난 8월 11일 새벽(한국시각) 우리 선수들은 열심히 뛰었고 결과는 2:0으로 우리가 일본을 꺾고 3위로 동메달을 획득하였습니다.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축구경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역사적인 .. 일반상식 2012.08.15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형제의 상(兄弟의 像) 6ㆍ25전쟁 당시 국군장교인 형과 북한군 병사인 아우가 전쟁터에서 극적으로 만난 실화를 소재로 남북의 분단과 대립을 화합과 통일로 승화시키려는 민족의 의지를 표현한 조형물이다. 건축가 최영집(崔英集), 조각가 윤성진(尹晟鎭), 화가 장혜용(張惠容)이 2년여에.. 역사유적 2012.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