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서울의 산행동호회 회원들과 등산약속이 있어 일찍 상경하여 여장을 풀고 가까운 인왕산을 올라보았다. 이제는 인왕산도 서서히 단풍빛으로 물들어가는 모습이다. 인왕산은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신(金剛神)의 이름인데, 조선왕조를 수호하려는 뜻에서 산의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한다. 서울의 진산(鎭山) 중 하나이다. 일제강점기에 인왕산의 표기를 인왕산(仁旺山)이라 하였으나, 1995년 본래 지명인 인왕산(仁王山)으로 환원되었다.
인왕산의 높이는 338m이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암반이 노출된 것이 특징이다. 서울의 성곽은 이 산의 능선을 따라 지나며 동쪽 산허리에 북악산길과 연결되는 인왕산길이 지난다. 인왕산에는 타포니(Tafoni)가 발달한 토르(Tor)가 많다. 주로 서울시 무악동 남쪽기슭 135m 고도에 위치한다. 인왕산의 토르는 주빙하 기후에 의해 화학적 풍화가 진행되어 생성된 것과 후빙기에 절리 발달에 따른 차별침식으로 생성된 것이 있다고 한다. 흔히 타포니는 토르와 관련되어 발달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화강암 토르에서 관찰되는데 인왕산 또한 그에 해당한다. 토르에서 타포니가 발달한 부분은 다른 부위보다 풍화가 더욱 진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7년과 2008년 인왕산에서 관찰된 식물은 전체 75과 232종 38변종 5품종으로 총 275종이며, 귀화종은 37종이다. 주요 출현 식물은 생태계 교란 야생동·식물인 국화과의 돼지풀, 서양등골나물 등이다. 곳곳에 약수터가 있고 경치가 아름다워 서울시민들의 유원지였으나 군사상의 이유로 출입이 통제되었지만 1993년부터 개방되었다. 인왕산은 조선시대의 명산으로 숭앙되었으며, 조선 초기에 도성을 세울 때 북악(北岳)을 주산(主山), 남산(南山)을 안산(案山), 낙산(駱山)과 인왕산을 좌우 용호(龍虎)로 삼아 궁궐을 조성하였다
봄에는 진달래가 만발하고 곳곳에 약수와 누대가 있었다. 경지가 아름다워 이를 배경으로 그린 산수가 많은데, 특히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인왕산을 등산할 수 있는 진입로는 많지만 대략 5개 코스로 나눌 수 있고 각각 두시간 정도면 오를 수 있다, 인왕산을 종주하는데 3시간 정도가 걸린다. 제1코스 사직공원 입구·약수터·정상·부암동(자하문), 제2코스는 사직터널·성터·정상·부암동(자하문), 제3코스는 독립문역·인왕산 일주문·국사당·선바위·철조망문·능선길·범바위·인왕천 갈림길·정상·305능선길·기차바위·인왕아파트 갈림길·홍심약수 갈림길·부암동사무소쪽 갈림길·하림각, 제4코스는 사직터널 전 사직공원·북악스카이웨이·국사당·달팽이바위·인왕산약수·해골바위·정상, 제5코스는 경복궁역·자하문길·영추문·청와대 앞길·청운중학교·최규식 경무관 동상·자하문·성곽길·정상 등이 있다.
지하철 3호선을 이용하여 경복궁역, 독립문역, 무악재역, 홍제역에서 하차하면 인왕산 들머리를 쉼게 찾아 오를 수 있습니다.
오늘의 등산코스 : 무악재역 1번출구→ 은평수도사업소(옛 서울여상)→ 청련사→ 기차바위→ 석굴암→ 범바위→ 선바위→ 얼굴바위→ 팔각정자→ 무악재역 2번출구 앞. 약 3시간 소요.
인왕산 등산지도▼
'등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왕산 호랑이 잡으러 간다. (0) | 2016.10.09 |
---|---|
양구 비봉산 일출봉과 파라호 한반도 섬 (0) | 2016.10.09 |
영동 곤천산(坤天山)에서 (0) | 2016.07.10 |
소무의도 바다누리길 걷기 (0) | 2016.05.17 |
인왕산에서 못 볼 것을 보고 왔다. (0) | 2016.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