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여행

인왕산 선바위 여인바위

마 음 2018. 1. 25. 19:20







인왕산 선바위(석불각)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악동 산 3번지 4호 인왕산 서남쪽에 있으며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4호로 지정된 입석 바위로 커다란 바위의 군데군데가 묘한 모습으로 파여져있습니다.

선바위는 부인들이 이 선바위에서 아이 갖기를 기원하는 일이 많아 "기자암(祈子岩)" 이라고도 합니다. 선바위의 모습이 마치 스님이 장삼(長衫)을 입고 서 있는 것처럼 보여 참선한다는 "선(禪)" 자를 따서 선바위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선바위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상(像)이라는 전설도 있고 이성계 부부의 상이라는 전설도 있습니다.

일제가 남산에 자신들의 신사를 세우면서 남산에 있던 국사당(國師堂)을 이곳 선바위 곁으로 옮기게 한 뒤로 선바위에 대한 신앙은 무속신앙과 더욱 밀접하게 되었습니다. 국사당은 무신(巫神)을 모시는 제당으로 굿을 행하는 곳이어서 국사당 뒤에 있는 선바위와 연계된 무속신앙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옛 문헌에는 조선 태조 때 한양 천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세상에 전하기를 한양 도성을 쌓을 때 선바위를 무학대사는 도성 안에 포함하자고 하고, 정도전은 성 밖에 두자고 하였다, 이때 정도전이 말하기를 "선바위를 도성 안에 들이면 불교가 성하고 밖에 두면 유교가 흥할 것이라 하니 태조가 정도전의 의견을 따르도록 하였다, 이에 무학이 탄식하며 "이제부터 승도들은 선비들의 책 보따리나 지고 따라다닐 것이다." 라고 하였다는데, 이런 것으로 보아 조선초기부터 이 선바위가 인왕산의 특징적인 암벽으로 시선을 끌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왕산 여인바위(얼굴바위)

얼굴바위를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서 각양각색으로 보이는 인왕산의 기암. 얼굴바위 바로 아래쪽에서 (장군바위 앞에서 혹은 장군바위 위에서) 바라보면 그 생김새가 마치 무명옷을 입은 여인이 앉아서 일하다가 인기척에 고개를 옆으로 돌린 얼굴처럼 보이는 바위. 독립문 공원 방향에서 보면 곧 굴러떨어질 것처럼 아슬아슬하게 서 있는 바위다. 인왕산 서울성곽 밖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왕산 모자바위.

모자바위라는 이름은 붙었는데 모자처럼 보이기보다는 흑백의 기이한 사람 얼굴 형상으로 보인다.



  


인왕산 여인바위와 모자바위는 나란히 있다. 여인바위 위에는 서울성곽의 곡장이라고 하는 넓은 장소가 있는데 현재는 군부대가 상주하고 있어 출입이 금지된 곳이다.



  





거대한 바윗덩이여서 장군바위라고 부르지만, 측면에서 보면 두개골에 구멍이 뚫린 모습이어서 일명 누워있는 해골 바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장군바위에 올라가서 여인바위를 바라보며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인왕산 서쪽 독립문공원 방향이나 배드민턴장 방향에서 보면 아슬아슬해 보이는 여인바위(얼굴바위) 아래로는 맨손으로 바위 타기 하기도 어려울 만큼 가파른 암벽을 이루고 있다.


  



인왕산 남쪽으로 서울 시내와 멀리 청계산과 관악산이 조망된다. 이미지 중앙 부분은 독립문 로터리와 주변 주거지역.



 


서대문구 안산과 백련산 방향.






장군바위 앞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의 중심부 종로구 중구 남산과 잠실 방향. 멀리 잠실의 상징 같은 롯데타워. 





장군바위

눈이 내려있어 올라가기가 어려운데 눈이 없으면 장군바위 위로 올라간다. 장군바위 위에 올라가 여인바위(얼굴바위)를 바라보고 합장하며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무속신앙이다.



    



장군바위 옆면. 인왕산의 장군바위뿐만이 아니고 인왕산의 곳곳에는 무속인들이나 무속신앙을 믿는 일반인들이 찾아와 소원을 빌면서 갖가지 낙서를 해놓아 보기가 참 안 좋다. 제 개인의 소견으로는 인왕산 산신령님께서 자신의 얼굴에 이렇게 지저분하게 낙서를 하였다고 복을 주려다가도 다시 빼앗아 갈 거 같다는 생각이다.    





장군바위 측면 안산 방향. 해가 서산 너머로 기울어간다.





인왕산 해골 바위 방향. 해골 바위를 곁에서 보면 무섭다.








서대문형무소 역사박물관이 내려다보인다.






2018년 01월 25일 전국이 극심한 한파경보로 얼어붙어 있다는 소식이 며칠째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추운 날이 계속되면 서민들의 삶이 한층 더 고달프게 된다. 하지만 소한과 대한이 지난 지 이미 오래되었고 1월도 막바지로 달려가고 있다. 봄소식을 알리는 입춘 절기가 코앞에서 기다리고 있으니 조금만 참고 견디면 따스한 봄날이 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