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제1호 숭례문이 화재로 인하여 붕괴되기 시작했다 숭례문(남대문) 국보제1호. 불에타고 있는 국보제1호 숭례문 불에 타 처참한 몰골을 하고 있는 국보제1호 숭례문 2008년 02월10일밤 20시 50분쯤에 대한민국 국보제1호 숭례문(남대문)이 화재가 발생하여 불타기 시작하여 11일 01시 현재까지도 불길이 완전진화되지 못한 상태이고 지붕이 붕괴되기 시작했.. 일상생활 2008.02.11
photoshop 을 이용해서 사진에 서명날인하기 photoshop 을 이용해서 사진에 서명날인하기 인터넷뉴스 혹은 불로그에 첨부된 사진들을 보면 서명이 들어있는 사진을 보게 됩니다.(일명 낙서라고도 합니다만..) 이것은 자신의 사진이라는 것을 확인시키는 의미도 있고 다른 사람이 가져다 사용하기에 불편하게 하기 위해서도 서명을 합니다. 저는 이렇.. 포토교육 2008.02.10
벌레잡이제비꽃 - 식충식물 벌레잡이제비꽃(Pinguicula)여기에 소개하는 식충식물 벌레잡이제비꽃은 여러가지 식충식물중에서도 끈끈이형(Flypaper trap)에 속하는 식충식물이다. 끈끈이형은 끈끈한 액체(점액)를 분비하여 먹이를 잡는다. 끈끈이형 식물의 잎은 털로 덮여있는데 이 털은 점액분비샘이다. 벌레잡이제비꽃의 경우 털이 짧고 잎의 움직임이 없지만 끈끈이주걱의 경우 털이 길고 잎이 움직인다. 잎뿐만 아니라 꽃대에도 점액분비샘이 분포해서 광택이 난다. 이 무리의 점액선은 짧고 움직이지 않는다. 도저히 식충식물로 보이지 않는 이 식물은 잎이 포충기이다. 날아다니는 작은곤충이 잎에 앉으면 비교적 빠르게 잎의 표면적을 넓혀 먹이를 말거나 그릇모양을 만들어 담는다.(굴촉성) 잎을 마는 것은 먹이를 소화하기 쉽게 하기위한 것도 있지.. 초본화류 2008.02.09
죽단화 - 겹황매화 죽단화 - 겹황매화 죽단화는 모든 것이 황매화와 유사합니다만 단지 꽃이 겹으로 모여 핀다는 점이 다르다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황매화는 매화와는 다른 종류로 나무에 가시가 없으며 나무가 단단하지 않고 부드럽다고 할 만큼 연한 줄기를 갖고 있습니다. 줄기는 녹색을 띠며 키는 약 1m~2m 정도 자랍.. 목본화류 2008.02.09
황매화 황매화 황매화는 매화와는 다른 종류로 나무에 가시가 없으며 나무가 단단하지 않고 부드럽다고 할 만큼 연한 줄기를 갖고 있습니다. 줄기는 녹색을 띠며 키는 약 1m~2m 정도 자랍니다. 나무의 굵기는 약 1cm~1.5cm 정도이고 매끈하고 윤기가 있습니다. 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모양을 이루.. 목본화류 2008.02.09
2008년의 자화상 2008년 01월 06일 제주 한라산 백록담에서. 2008년 01월 07일 제주 마라도 통일기원비 앞에서. 2008년 01월 08일 제주 성산 일출봉에서. 2008년 01월 08일 제주 우도등대공원에서. 2008년 01월 09일 제주 중문관광단지 천지연폭포 선임교에서. 2008년 01월 10일 제주 한라산 윗세오름에서. 제주도에 살고있는 동생집에 들러서 9일 동안의 여행을 마무리하고 돌아왔습니다. 한라산 백록담에도 올라가 보고 이곳저곳 제주도의 명소를 대충 둘러보았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다시 방문하여 못 가본 곳을 살펴보고 싶습니다. 눈 쌓인 한라산의 모습은 오래오래 기억에 남을듯하고 윗세오름의 아름다운 풍경들도 오래오래 마음속에 남을듯합니다. 이번에는 겨울의 제주도를 보았으니 다음에는 봄철의 제주.. 자화상실 2008.02.08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Windows Midia Encoder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Windows Midia Encoder 설치 & 사용하기 미디어 파일 인코더 "Windows Media Encoder" v7.0 다음자료실 Windows Media Encoder 9 Series (Win2000/XP) 한글판 네이버 ☜ 윈도우미디어인코더9 영문판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를 이용해서 용량이 큰 mp3 파일을 1/2로 줄여서 사용하기. mp3파일.. 컴퓨터방 2008.02.05
우편번호검색 & 주소 영문번역 우편번호검색 & 주소 영문번역 우편번호를 찾느라고 고생한 적도 있습니다. 요즘은 외국에 나가 있는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편지를 쓸 때에 영문주소로 고쳐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우체국에서 만들어 놓은 우편번호 검색과 한글주소를 영문으로 번역할 수 있는 사이트를 즐겨찾기에 넣.. 컴퓨터방 2008.02.04
북한산의 사모바위 북한산의 사모바위 사모紗帽 고려말부터 조선말까지 문무백관이 상복(喪服)에 착용하던 관모. 조선 후기에는 공복(公服), 예복 등에 두루 사용되었다. 사모는 뒤가 높고 앞이 낮은 2단 모정부(帽頂部) 뒤에 각(角, 脚)이 2개 붙어 있는 것으로, 모정부와 각은 죽사(竹絲)와 말총으로 짜고 사포(紗布)를 씌.. 국립공원 2008.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