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두콩 꽃 작두콩 꽃 작두콩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여름에 피는 엷은 홍자색의 꽃이 참 깨끗하고 아름답다. 꽃의 생김새도 작두같은 느낌이고 열매도 작두콩이라고 하는 만큼 커다란 콩꼬투리에 10여개의 씨가 들어 있다. 덩굴식물이므로 울타리나 담장근처에 심어 지지대를 만들어주면 줄기에서 덩.. 초본화류 2008.02.19
조선왕조 역대 일람표(1392~1910.27대왕 519년) 조선왕조 역대 일람표(1392~1910.27대왕 519년) 역대 왕 호 성 씨 제위기간 역대 왕 호 성 씨 제위기간 1代 太祖태조 이성계 1392~1398 ◎ 莊祖장조 이씨 ◎ 2代 定宗정종 이방과 1398~1400 22代 正祖정조 〃 1776~1800 3代 太宗태종 이방원 1400~1418 23代 純祖순조 〃 1800~1834 4代 世宗세종 이 도 1418~1450 ◎ 翼宗익종 〃 ◎.. 일반상식 2008.02.19
고려왕조 역대 일람표(918~1392. 34대왕 475년) 고려왕조 역대 일람표(918~1392. 34대왕 475년) 역대 왕 호 성씨 제위기간 역대 왕 호 성씨 제위기간 1代 太祖태조 왕건 918~943 25代 忠列王충렬왕 왕씨 1274~1308 2代 惠宗혜종 왕씨 943~945 26代 忠宣王충선왕 〃 1308~1313 3代 定宗정종 〃 945~949 27代 忠肅王충숙왕 〃 1313~1330 4代 光宗광종 〃 949~975 28代 忠惠王충혜왕.. 일반상식 2008.02.19
한글 로마자 표기법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판) 모음 국 어 ㅏ ㅓ ㅗ ㅜ ㅡ l ㅐ ㅔ ㅚ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ㅟ ㅢ 변경전 a o o u u i ae e oe ya yo yo yu yae ye wa wae wo we wi ui 개정안 a eo o u eu i ae e oe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wi ui 자음 국 어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 ㅅ ㅆ ㅎ ㅁ ㄴ ㅇ ㄹ 변경전 k.. 일반상식 2008.02.19
우수 雨水 우수(雨水) 1년 24절기중 4번째에 해당하는 우수. 양력 2월 19일경, 음력 1월중, 태양의 황경이 330°이며, 눈이 비로 변하고 얼음이 녹아 물이 된다는 말로 이때쯤이면 꽁꽁 얼었던 대동강 물이 풀리고 물고기가 올라오며, 기러기는 다시 추운 지방을 찾아 떠난다고 한다. 오늘이 우수다. 설을 중심으로 그.. 일반상식 2008.02.19
신위(神位) 신위(神位) 신위는 고인의 지방으로 하되 오늘날과 같이 사진영상이 발달한 경우에는 사진으로 한다. 신위라 함은 고인의 영혼 즉 신을 모시는 곳을 말한다. 기제사의 본뜻이 고인의 별세한 날을 추모하는 의식이라고 하였으니 그 추모하는 정을 제대로 고취시키려면 고인의 생전 모습이 그대로 나타.. 일반상식 2008.02.18
기제사 행사방법(行祀方法) 기제사 행사방법(行祀方法) 기제(忌祭)는 단설(單設)과 합설(合設)이 있는데 양위가 모두 별세하셨을 경우에는 합설하는 것을 원칙으로한다. 행사방법은 고인의 내외분을 함께 모시는 것을 합설이라고 한다. 또는 그날 별세하신 한분만을 모시는 것을 단설이라고 한다. 부부는 일신(一身)이라는 말과 .. 일반상식 2008.02.18
참사자(參祀者) 참사자(參祀者) 기제사는 고인이 별세한 날을 매년 추모하는 의식으로 순수한 가족적인 행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행사에는 고인의 직계 자손과 가까운 친척들만이 참여하게 된다. 특히 고인의 직계자손으로써 먼 타지방에 출장을 하였거나 그밖의 사정으로 제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 일반상식 2008.02.18
제주(祭主) 제주(祭主) 제주는 고인의 장자 또는 장손이 되며 장자 또는 장손이 없는 경우에는 차자 또는 차손이 제주가 되어 제사를 주제한다. 상처한 경우에는 남편이나 그의 자손이 제주가 되고 자손이 없이 상부한 경우에는 아내가 제주가 된다. 祭主라 함은 제사를 맡아서 지내는 즉 제사를 주재하는 사람을 .. 일반상식 2008.02.18
기제시간(忌祭時間) 기제시간(忌祭時間) 禮文(예문)에는별세한 날 子時(자시)에 제사를 지낸다고 되어있다. 厥明祭(궐명제)니 質明祭(질명제)니 한다. 厥(궐)은 其也(기야)요 質(질)은 成也(성야)니 厥明하면 未明(미명) 이요, 質明하면 먼 동이 틀 무렵이다. 그러니까 子正(자정)부터 寅時까지(0시~05시) 날이 새기 전 새벽에 .. 일반상식 200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