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곽길 지도 종로구청에서 제작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담고있는 서울성곽길 지도입니다. 仁 흥인지문(동대문(현존)).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義 돈의문(서대문(복원예정)). 불의를 부그러워하는 마음 禮 숭례문(남대문(복원중)). 남을 공경하고 양보하는 마음 智 숙정문(북대문(현존)). 옳고 그름을.. 역사유적 2012.03.02
인왕산 황학정과 국궁 황학정(黃鶴亭) 개천각(開天閣). 국궁용 화살. 궁사들이 멀리 과녁을 향해 힘차게 활시위를 당기고 있습니다. 중앙의 창문이 보이는 건물은 국궁체험장. 황학정옆에는 택견수련터가 있고▲ 택견수련터 아래로는 서울 시내가 시원하게 조망됩니다▼ 인왕산 황학정은 경희궁 회상전 북쪽.. 역사유적 2012.03.01
인왕산 서울 성곽을 바라보며... 종로구 행촌동 성곽길에서 본 인왕산 범바위-정상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북악산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남산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범바위 입구의 서울 성곽. 이곳에서부터 범바위-정상 구간은 현재 복원공사로 진입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여기에 보이는 서울성곽은 인왕산의 서울성.. 역사유적 2012.03.01
서대문독립공원 - 삼일독립선언기념탑 예전의 서대문형무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 난 후에 역사적 가치가 많은 형무소 건물들을 그대로 유지하여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의 아픈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서대문독립공원내에는 독립문. 독립관. 서재필선생 동상. 삼일독립선언탑 .. 역사유적 2012.02.18
광화문 해태 위 사진은 현재의 광화문이 이전 복원되기 전의 모습.(2004년9월6일 촬영) 해태는 옛 궁전이나 사찰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자와 비슷하게 만들어 놓은 조각물로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을 판단하여 안다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해태상은 고대 사회 때부터 등장하여 봉건 군주의 .. 역사유적 2012.01.11
북한산 탕춘대성 북한산 향로봉 아래의 탕춘대성은 윗부분이 모두 허물어지고 성옆으로 등산로가 형성되면서 성곽인줄도 모르고 마구 성곽위를 밟고 다녀서 성 윗부분이 등산로처럼 되어 버린 곳이 많습니다. 성곽옆애서 자라던 소나무는 자라서 이제는 무너진 성 위에 자리를 잡게 되었는데 등.. 역사유적 2011.12.19
남한산성 북문(전승문) 南漢山城 北門(戰勝門) 역사문화와 자연생태계의 보물창고 남한선성은 해발 482m의 청량산을 서쪽 끝으로 하고 해발 522m의 남한산을 동쪽 끝으로 하는 긴 장방형의 산성이다. 동쪽을 제외한 성주위가 경사가 급하여 험준하고 성내부에는 평평한 분지를 이루어 예부터 하늘이 만든 요새라 불러왔다. 산성.. 역사유적 2011.12.18
남한산성 서문(우익문)南漢山城 西門(右翼門) 남한산성은 국가사적 제57호(南漢山城)로서 북한산성과 함께 도성을 지키던 남부의 산성이었다. 지금은 동, 서, 남문루와 장대, 돈대, 암문, 우물, 보, 누, 등의 방어 시설과 관해, 군사 훈련 시설 등이 있다. 이 산성의 주변 지역에는 백제 초기의 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일찍.. 역사유적 2011.12.18
북한산성 서암문(시구문) 서암문.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앞의 북한산계곡을 건너는 둘레교. 이 둘레교를 건너면 북한산 둘레길 내시묘역길 구간으로 들어갑니다. 북한산 둘레길 내시묘역길 구간에서 서암문. 원효암. 원효봉으로 진입하는 갈림길에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진입하.. 역사유적 2011.12.16
경복궁 향원정 향원정은 경복궁 안에 있는 2층 정자로 고종이 건청궁(乾淸宮 :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에 기거하던 1867년 경회루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그 중앙에 지은 것이다. 건청궁과 향원정 사이에 다리를 놓아 취향교(醉香橋)라 했는데, 이 다리는 6·25전쟁 때 파괴되고 현재의 다리는 1953년.. 역사유적 201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