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곽 둘러보기1 (동대문~혜화문) 600년 서울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곳. 서울성곽길을 따라 걸어보기 위해서 아침에 집을 나서 보았습니다. 지하철 3호선과 1호선을 이용하여 동대문역에 도착. 지하철 1호선 동대문역 1. 2번 출구로 나오면 서울성곽길 입구 찾기가 수월합니다.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인 흥인지문(동대문) 興仁.. 역사유적 2012.03.13
서울성곽 혜화문惠化門 (동소문) 조선 시대, 1397(태조 5)년에 도성을 에워싸는 성곽을 쌓을 때 도성의 북동쪽에 세운 문. 팔대문(八大門)의 하나로, 처음에는 홍화문(弘化門)이라 하였으나 1511(중종 6)년에 이 이름으로 고쳤으며, 통속적으로는 동소문(東小門)이라고 부른다. 1816(순조 16)년에 중수하였다가 1930년 일제가 시.. 역사유적 2012.03.13
홍성 상하리 미륵불(洪城 上下里 彌勒佛) 충남 홍성 상하리 미륵불(忠南 洪城 上下里 彌勒佛) 위치 : 충남 홍성군 홍북면 상하리 산 1-2 충남 유형문화재 제87호로 지정되어 있는 용봉산 용도사 미륵불이다. 미륵불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여 중생을 계도하는 미래의 부처이다. 이 미륵불은 용봉산(龍鳳山) 서쪽 기슭에 있는 절벽 .. 역사유적 2012.03.11
서울성곽길 지도 종로구청에서 제작한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을 담고있는 서울성곽길 지도입니다. 仁 흥인지문(동대문(현존)).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 義 돈의문(서대문(복원예정)). 불의를 부그러워하는 마음 禮 숭례문(남대문(복원중)). 남을 공경하고 양보하는 마음 智 숙정문(북대문(현존)). 옳고 그름을.. 역사유적 2012.03.02
인왕산 황학정과 국궁 황학정(黃鶴亭) 개천각(開天閣). 국궁용 화살. 궁사들이 멀리 과녁을 향해 힘차게 활시위를 당기고 있습니다. 중앙의 창문이 보이는 건물은 국궁체험장. 황학정옆에는 택견수련터가 있고▲ 택견수련터 아래로는 서울 시내가 시원하게 조망됩니다▼ 인왕산 황학정은 경희궁 회상전 북쪽.. 역사유적 2012.03.01
인왕산 서울 성곽을 바라보며... 종로구 행촌동 성곽길에서 본 인왕산 범바위-정상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북악산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남산 방향으로 본 서울 성곽. 범바위 입구의 서울 성곽. 이곳에서부터 범바위-정상 구간은 현재 복원공사로 진입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여기에 보이는 서울성곽은 인왕산의 서울성.. 역사유적 2012.03.01
서대문독립공원 - 삼일독립선언기념탑 예전의 서대문형무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 난 후에 역사적 가치가 많은 형무소 건물들을 그대로 유지하여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의 아픈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서대문독립공원내에는 독립문. 독립관. 서재필선생 동상. 삼일독립선언탑 .. 역사유적 2012.02.18
광화문 해태 위 사진은 현재의 광화문이 이전 복원되기 전의 모습.(2004년9월6일 촬영) 해태는 옛 궁전이나 사찰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자와 비슷하게 만들어 놓은 조각물로 시비(是非)나 선악(善惡)을 판단하여 안다는 상상의 동물입니다. 해태상은 고대 사회 때부터 등장하여 봉건 군주의 .. 역사유적 2012.01.11
북한산 탕춘대성 북한산 향로봉 아래의 탕춘대성은 윗부분이 모두 허물어지고 성옆으로 등산로가 형성되면서 성곽인줄도 모르고 마구 성곽위를 밟고 다녀서 성 윗부분이 등산로처럼 되어 버린 곳이 많습니다. 성곽옆애서 자라던 소나무는 자라서 이제는 무너진 성 위에 자리를 잡게 되었는데 등.. 역사유적 2011.12.19
남한산성 북문(전승문) 南漢山城 北門(戰勝門) 역사문화와 자연생태계의 보물창고 남한선성은 해발 482m의 청량산을 서쪽 끝으로 하고 해발 522m의 남한산을 동쪽 끝으로 하는 긴 장방형의 산성이다. 동쪽을 제외한 성주위가 경사가 급하여 험준하고 성내부에는 평평한 분지를 이루어 예부터 하늘이 만든 요새라 불러왔다. 산성.. 역사유적 201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