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레길로 282

서울둘레길 18코스 우중산책하다.

이른 아침부터 서울지역에도 보슬비가 내리기 시작하였다. 비가 계속하여 내리기는 하여도 억수로 쏟아지는 것도 아니고 우산 받쳐 들고 산책하기에 딱 좋은 그런 날씨였다. 우산을 들고 가까운 뒷산 봉산으로 산책을 갈까 하다가 이왕이면 진행 중인 서울둘레길의 한 개 코스를 산책하고 싶은 마음에 불광역으로 하여 어제 17코스 산책 마지막 부분인 장미공원으로 갔다. 비를 흠뻑 맞은 초목이 더욱 싱싱해 보인다. 북한산의 족두리봉과 향로봉 비봉 등 비봉능선의 우중 모습이 평온해 보인다. 가지가 유난히도 많은 소나무 한그루가 멋스러움을 자랑하고 있다. 탕춘대성 암문. 탕춘대성 암문옆에 활짝 핀 하얀 꽃은 어떤 나무일까. 팥배나무꽃은 아닌데 이름을 알 수 없는 탐스럽게 많이 달린 하얀 꽃이 참 곱다. 산..

둘레길로 2025.05.09

서울둘레길 17코스 산책하다

서울둘레길 17코스의 스탬프 기기함은 앵봉산가족캠핑장옆 서울둘레길 16코스의 마지막 도착지점에 있어 서울둘레길 16코스를 마치면서 서울둘레길 17코스의 출발 스탬프를 날인하고 내려왔기에 오늘 서울둘레길 17코스의 출발은 구파발역 2번 출입구옆 구파발천변의 서울둘레길 이정표(선림사 방향)를 따라서 구파발천으로 들어서서 걷게 된다. 구파발천 인공폭포. 인공폭포 앞 구파발천에는 잉어 향어 등 많은 물고기가 서식하고 있다. 북한산 족두리봉(수리봉) 아래 수리공원을 가로질러 정진사 방향으로 들어간다. 정진공원지킴터앞. 족두리봉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는 곳이다. 은평둘레길. 서울둘레길, 북한산둘레길 공동 하늘다리 은평둘레길. 서울둘레길, 북한산둘레길 공동 하늘전망대. 북한산둘레길 포토포인트. 서..

둘레길로 2025.05.08

서울둘레길 16코스 산책하다

서울둘레길 16코스는 은평구 증산동 서울지하철 6호선 증산역 3번 출입구로 나와 200여 m 전진하면 은평둘레길 1코스 스탬프 기기함 앞 서울둘레길 16코스 출발지점인 증산역갈림길을 마주하게 된다. 이곳에서 증산체육공원 방향으로 진입하여 증산배수지전망대-편백전망대- 봉산정상전망대- 서오릉고개 생태연결로- 앵봉산정상- 앵봉산가족캠핑장- 구파발역으로 이어지는 9.1km의 난도 상급의 서울둘레길을 걷게 된다. 서울둘레길 전체 21코스 중 가장 난도가 높은 코스로 이곳 16코스를 꼽을 수 있다. 증산체육공원 서울둘레길 16코스 스탬프 기기함에서 스탬프 용지에 날인하고~ 증산배수지 전망대에서 은평구 마포구 여의도 관악산 방향. 증산배수지 전망대에서 북한산 백련산과 은평구 주거지 방향. 편백정과 편백숲. ..

둘레길로 2025.05.08

서울둘레길 4~5코스 산책하다

서울둘레길 4코스는 서울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 5번 출입구로 나와 묵동천교를 건너 공릉동근린공원입구에 있는 서울둘레길 4코스 스탬프 기기함에서 스탬프 용지에 날인하고 묵동천 아래로 내려서서 묵동천을 따라서 걷게 된다. 묵동천은 높낮이 차이가 크지 않아 유속이 매우 느리게 흘러서 물아래 바닥이 깨끗해 보이지는 않으나 작은 물고기들이 많아서인지 왜가리 같은 조류가 많이 보이기도 한다. 신내어울공원의 스탬프 기기함. 서울둘레길 4코스에는 스탬프 기기함이 두군데에 설치되어 있다. 서울지하철 6호선 신내차량기지. 서울둘레길 4코스 7.7km의 중간지점쯤 되는 곳이다. 신내암 앞에서 본 망우산 방향. 망우역사문화공원길로 접어들어 망우산 자락을 걷게 된다. 포장된 도로에 조금은 시원한 나무그늘길을 걷게..

둘레길로 2025.05.08

서울둘레길 2~3코스 산책하다.

서울둘레길 1코스 도착지점이면서 2코스 출발지점 당고개공원갈림길이다. 서울지하철 4호선 불암산역(옛 당고개역) 3번 출입구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면 바로 앞에 당고개공원이 나온다. 당고개공원에서 400여 m 올라오면 서울둘레길 본선 2코스 출발지점을 만나게 된다. 역순으로는 1코스 출발지점이기도 하다. 서울둘레길 1코스에는 거인발자국바위라는 기이하게 생긴 바위가 있었는데 2코스에는 거인손자국바위라는 기이한 바위가 서울둘레길을 걷는 사람들에게 손뼉을 치면서 반긴다. 서울둘레길 2코스의 거리가 5.4km인데 이지점쯤이면 중간지점은 되는 듯하다. 바로 옆에 어린이동산과 최근에 깨끗하게 지은 화장실. 주차장 등이 잘 갖추어진 곳이다. 서울둘레길 2코스는 수락산의 일부와 불암산의 일부가 함께 걸쳐있는데 이..

둘레길로 2025.05.08

불광천의 두빛나래교 (레인보우교)

서울특별시 은평구 소재 불광천은 그동안 수로개선공사를 모두 마치고 이제는 온전한 형태로 주민들이 즐겨 찾는 산책코스가 되었다. 불광천은 관리주체도 서북 3구(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모두 해당되는 하천으로 복개구간이 끝나고 지상으로 노출되는 지하철 6호선 응암역 앞에서부터 시작되어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지역 서울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근처에서 홍제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흘러가는 하천으로 도심 주거지역 가운데 있어서 불광천을 왕래하는 지역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서 많은 교량과 징검다리가 설치되어 있는데 오늘은 교량의 이름이 바뀐 게 하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불광천을 자주 산책하는 편이면서도 교량의 이름이 바뀌었을 것이라고는 생각을 못하였었는데 오늘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비는 내리지 않았는..

둘레길로 2025.05.05

제8차 서울둘레길 완주를 위한 첫출발(1코스)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서울창포원 경내 서울둘레길사무소 앞 스탬프 기기함에서 서울둘레길 인증용지에 첫 번째 인증날인을 하면서 제8차 서울둘레길의 대장정의 출발을 한다. 서울창포원에는 많은 여학생들이 나와 사진촬영을 하는 모습도 보이고 시민들도 많이 나와 산책을 즐기는 모습들도 보였다. 서울창포원을 나와 이곳까지 오는 동안에는 자료사진을 한컷도 촬영하지 않고 왔는데 이곳의 이정목을 보니 지금까지 걸어온 거리가 3.2km이고 앞으로 걸어가야 할 거리가 3.1km인 이지점이 서울둘레길 1코스 총 거리 6.3km의 중앙지점으로 여겨진다. 어느 박공(朴公墓)이 이 거대한 바위를 자신의 묘소로 삼았는가 보다. 고인돌처럼 거대한 바위 밑에 자신의 묘를 만들었다는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바위에는 특별한 ..

둘레길로 2025.05.02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 무의도 & 소무의도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무의도 & 소무의도는 서울에서 인천공항철도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섬이다. 인천공항철도에서 하차하여 3층 7번 케이트 앞 버스정류장에서 매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무의도행(10번) 버스에 탑승하면 하나개해수욕장을 거쳐서 소무의도 앞 광명항 종점에 도착하는데 약 40분 정도 소요된다. 무의도에는 호룡곡산 하나개해수욕장 실미도 소무의도 몽여해변 등 등산을 겸하여 산책하기에 좋은 바닷가를 즐길 수 있는 곳이 많다. 최근에는 접근하기에는 좀 어려운 곳이기는 하지만, 세렝게티라고 하는 곳을 찾은 사람들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국 어디에서나 관광을 즐기면서 자신에게서 발생된 쓰레기는 지정된 장소에 분리배출하는 미덕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문화시민으로서 당연하다는 것을 알고 꼭..

둘레길로 2025.04.24

인천 무의도 바닷가에서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 무의도 광명항 포구와 소무의도. 광명항 포구 버스정류장 옆 초록카페 뒤편에 무의도 호룡곡산 산행 안내지도가 있다. 오늘 무의도 호룡곡산에 올라가는 것은 아니고 무의도 바닷가를 산책하려고 무의도 광명항에 온 것이다. 무의도 바닷가에는 흔히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해당화가 아직 꽃이 피지는 않은 모습이다. 해당화꽃은 아직 피지 않았으나 산벚꽃은 지금이 한창 피고 있어 그 화려함이 덕욱 아름다운 모습이다. 바닷가에서 멀리 소무의도 앞 해녀섬이 보인다. 소무의도에서는 보이지 않던 등대가 해녀섬의 뒤에 있는 모습이다. 무릇 사람들은 바다를 바라보면 슬프다는 느낌을 받는다는데 필자는 바다를 바라보면 시원한 느낌이고 답답하던 가슴이 확 열리는듯한 감정을 느껴서 바다를 바라..

둘레길로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