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 626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에서

서울 남산골 서울천년타임캡슐광장(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4길 28 (필동 2가))서울 정도(定都) 600년을 맞이한 오늘날의 시민 생활과 서울의 모습을 대표할 수 있는 문물 600점을 캡슐에 담아 400년 후인 서울 정도 1000년에 후손에게 문화유산으로 전하고자 함이다. 4백 년간의 시간 여행을 위해 지금도 긴 잠에 빠져 있는 타임캡슐은 서울 정도 6백 년을 기념해 서울시가 1994년 11월 29일 높이 2.1m, 직경 1.4m 크기에 특수 재질로 만든 보신각종 모양으로 지하에서 4백 년을 견딜 수 있도록 특수 제작돼 수장됐다. 이 캡슐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현재 생활의 모든 것을 보여줄 문물 6백여 점이 빈틈없이 보존 처리돼 수장돼 있다. 캡슐이 묻힌 남산골 타임캡슐 광장은 1천5백 ..

일상생활 2024.11.14

남산공원을 산책하며...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의 상징으로서 높이는 해발 270m로서 본래 이름은 인경산이었으나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풍수지리에 의해 도읍지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 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이므로 ‘남산’으로 지칭되었고 풍수지리상 안산으로 중요한 산이다. 나라의 평안을 비는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산신령을 모시는 신당을 세워 목멱대왕 산신을 모시고 있어 목멱신사라고 불리고 이때부터 인경산은 목멱산으로 불렸다. 1940년 3월 12일 공원으로 지정하여 1968년 9월 10일에 개원하였으며 1991년부터 8년간 “남산제모습 가꾸기” 사업으로 공원 내 부정적 시설 89동을 이전하고 야외식물원을 조성하는 등 중구 예장동, 회현동, 용산구 한남동 일대를 대대적으로 복원, 정비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과 맑은 공기를..

일상생활 2024.11.13

남산공원 백범 . 안중근 광장 산책

김구金九1876년 8월 29일 황해도 해주군(海州郡) 백운방(白雲坊) 텃골(基洞)에서 아버지 김순영(金淳永)과 어머니 곽낙원(郭樂園)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연상(蓮上), 초호는 연하(蓮下), 활동기 이후의 호는 백범(白凡)이다. 아명은 창암(昌巖)이었다가 동학 입도 후에 창수(昌洙), 그 후 구(龜, 九)로 개명하였다. 불교 입교 시기 법명은 원종(圓宗)이었다가, 환속 후 유랑기에는 잠시 김두래(金斗來)라는 이름을 썼다. 어려서부터 의협심이 강하고 공부를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일급 서당에 가지 못하였다. 9세부터 서당 공부를 시작하여 아버지의 열성으로 집안에 차린 서당과 이웃 동네 서당에서 항상 일등을 차지하였다. 14세에 평민 출신인 훈장 정문재(鄭文哉)의 서당에서 ..

일상생활 2024.11.12

고향역 황등역 익산역

「고향역」 이야기한국인의 애창곡 중의 하나인 가수 나훈아 님이 부른 고향역의 배경은 익산역이다. 이 노래를 작사. 작곡한 임종수선생은 순창 출신으로서 중. 고등학교 시절 당시 삼기지서에서 근무하던 형과 함께 삼기면에 거주하면서 황등역에서 익산역까지 기차를 타고 통학했었다. 그때 기찻길 옆에 피어있는 코스모스를 보면서 고향의 어머니가 생각나 눈물지은 날이 많았다. 그때의 추억을 생각하며 이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 노래가 바로  우리가 부르고 있는 '코스모스 피어있는 정든 고향역'으로 시작하는 '고향역'이다. 국민애창곡 '고향역'이 탄생하는 과정은 1970년대 사회 문화상을 고스란히 응축하고 있다. 산업화로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심화되고 있던 상황에서 고향을 떠난 이들의 마음을 뒤흔든 것이다. 1972년..

일상생활 2024.11.10

은평둘레길 스탬프 투어(이말산. 은평한옥마을)

이말산 정상 표지목. 이말산은 해발고도 133m로 나지막한 산봉이다.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서울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2번 출입구로 나오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봉이고 유명 무명의 많은 분묘가 있는 공동묘지 같은 산봉이다. 나지막하고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어 주변의 주민들이 즐겨 찾아 건강을 다지는 산이기도 하다. 은평한옥마을은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천년고찰 진관사 앞에 소재하는 마을로 현대식 한옥마을이다. 구파발역에서 이말산을 넘어 한옥마을로 이어지는 산책코스가 되기도 하고 요즘은 외국인들의 관광명소가 되어 많은 외국인들을 만나볼 수 있는 마을이 되었다. 한옥마을 전시관 옥상 전망대에 올라보면 북한산의 멋진 산봉들을 조망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은평구청 은평보건소 건강관리센터에서..

일상생활 2024.11.07

은평 한옥마을 산책하다.

2024년 11월 02일(토요일) 시간이 잘도 간다 혹은 시간이 안 간다고 말하는 것은 사람마다의 형편에 따라서 다르게 느낄 테지만, 칠십 대 후반의 마지막 고개를 넘으려고 하는 중늙은이에게는 어느새 11월인가? 하는 마음이다. 11월은 겨울의 시작으로 입동과 함께 소설절기가 들어있어 겨울이 시작되었다고 해야 마땅하다고 여겨진다. 오늘은 쾌청한 날씨에 봄철과 같은 따스한 기온으로 바깥나들이하기에 좋은 날이다. 버스를 이용하기에는 멀지도 그렇다고 가깝지도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은평구 진관동 은평한옥마을을 왕복 걷기를 하면서 천천히 한옥촌을 둘러보지만, 왠지 한옥으로의 감정은 느끼지 못하는 거 같았다. 단층으로 집과 집 사이에 여유공간이 있는 그런 곳이 아니고 복층집인지 이층 집인지 애매모호하게 지은 것..

일상생활 2024.11.02

10월 걷기운동 결과

10월에도 중순경까지는 무더위가 지속되다가 중순을 넘어가면서 무더운 기온이 조금씩 누그러들기 시작하여 걷기 운동하는데 한결 상쾌한 마음으로 걸을 수 있었다. 시월 말경에 이르러서는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면서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하여 아침나절에는 조금은 써늘한 느낌으로 보온이 되는 복장으로 나섰다가 한낮에는 기온이 올라 옷을 한 겹 벗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이제는 상강절기도 지났고 내일이면 11월과 함께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입동절기가 다가오고 있기에 더위와는 이별을 하는 절기가 되었다고 여겨지며 앞으로 한동안은 걷기 운동을 하기에는 최적의 기온이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시월 한 달 동안에도 걷기 운동을 열심히 하였다. 워크온(walkon)이 계산한 10월의 만 걸음 이상 달성일 수 31일. 합계 ..

일상생활 2024.10.31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

https://www.tistory.com/event/write-challenge-2024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www.tistory.com#오블완 이란? ‘오늘 블로그 완료'의 의미로, 오늘의 블로그 포스팅을 완료했음을 인증하는 태그입니다.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가 2024년 11월 07일 ~ 11월 27일까지 3주간(21일 동안)진행된다는데 소설을 쓰는 문학작가도 아닌데 어떻게 하루도 빠지지 않고 블로그에 게시글을 작성할 수 있을까?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로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라는데 글을 쓰는 재주는 타고난 밑바탕이 있어야 하는 일인데 그런 재주가 없는 사람은 어찌하나요. 숙제치고는 꽤나 어려운 숙..

일상생활 2024.10.29

소년이 온다

2024년 10월 10일 대한민국에는 멀리 해외(스웨덴)로부터 기쁜 소식이 전해졌었다. 인류의 삶과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세계최고 권위의 노벨상 노벨문학상 부문에 우리나라의 문학가 한강님이 선정되었다는 소식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노벨상을 수상한 사람으로는 노벨평화상 부문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수상한 이후로 한강님이 노벨문학상 부문에서 수상하게 되어 두 명의 노벨상수상자를 배출한 국가가 되었다. 물론 다른 나라에서는 더 많은 수상자를 배출한 나라도 많이 있지만 노벨상수상자로 선정되는 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에 한강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의 소식은 문학가 한강님 본인은 물론이고 우리 국민 모두에게 기쁘고 영광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필자는 문학에는 조금도 소질이 없는 사람이자만, 젊은 청소..

일상생활 2024.10.22

인플루엔자(독감) & 코로나19 백신 접종받았다.

2024년도 인플루엔자(독감) 백신과 코로나19 백신을 무료 접종받았다.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은 매년 이맘때에 접종받았고 코로나19 백신은 6차 접종으로 모더나 백신을 접종받았다. 백신접종의 효과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그동안 한 번도 독감이나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았다. 평소 건강관리도 중요하고 때에 맞추어 백신접종도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일상생활 2024.10.11